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월급계산기 활용방법 깜짝 꿀팁 알아봐요

직장인들에게 아마도 가장 즐거운 날이 월급날일 것입니다. 한달 내내 생활을 하면서 가장 기다려지는게 월급날이 아닐까 생각을 합니다. 반대로 회사 대표들에게 가장 안좋은 날은 아마도 월급날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런데 직장생활을 하며 가장 기다려지는 날 중 하나인 월급날이 되면 희비가 엇갈립니다. 그런데 대부분이 월급이 작다고 아우성입니다. 많이 받은 사람도 적다고 하며 적게 받은 사람은 상대적 허탈감에 빠지게 됩니다. 








월급은 아무리 많아도 부족한 게 인간의 욕심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연봉 3천만원 받는 사람도 연봉 1억원을 받는 사람도 모두가 부족하다고 느끼는게 월급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런 월급을 받기까지 한달 동안 열심히 일한 직장인들 참 고생많았습니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항상 월급날이 오기만을 기다리는 직장인은 그래도 한달에 한번 희망의 날이 있으니깐 이를 기대하며 한달의 힘든 일을 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월급은 어떻게 계산되는 것일까요. 그래서 오늘은 월급계산기 활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월급계산기 활용방법 깜짝 꿀팁 알아봐요



이전에 네이버 월급계산기 를 활용하기도 했는데 지금은 서비스를 하지 않는다는 점 알아두시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사람인에서 제공하는 급여계산기 활용방법을 소개할 텐데요 잘 따라오시기를 바랍니다.


월급계산기 <============== 클릭하세요


월급계산기 활용방법 깜짝 꿀팁 알아봐요



먼저 사람인에서 제공하는 연봉계산기 화면으로 접속을 하게 됩니다. 오른편 아래에 예상실수령액은 알기위해서는 본인이 받은 연봉의 액수를 입력을 하셔야 합니다. 보다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보다 상세한 정보를 입력하면 됩니다.

연봉을 입력하고 부양가족수와 20세이하 자녀수를 차례대로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누르시면 됩니다. 그럼 우리나라에서 월급을 받는 직장인들이 모두 납부하는 4대보험 납부금액 및 국가에 납세한 세금 그리고 예상 실수령액이 나타나게 됩니다.


월급계산기 활용방법 깜짝 꿀팁 알아봐요



오천만원의 연봉을 받는 사람을 기준으로 월급계산기 돌린 결과 입니다. 오른쪽편에 4대 보험료 납부금액 및 월 예상실수령액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이 대략 182,930원이구요, 건강보험이 124,430원입니다. 5천만원의 연봉을 받으면 월급으로 약 3,720,126원을 수령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월급계산기 활용방법 깜짝 꿀팁 알아봐요



다음은 연봉1억원을 받는 사람의 월급 입니다. 국민연금이 195,300원입니다. 예상 실수령액은 약 6,938,023원 이라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연봉이 올라가는 만큼 세금의 인상폭도 덩달아 올라 가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억의 꿈의 연봉을 받는 사람의 실수령액 그래도 참 대단하네요. 그런데 과연 연봉1억원을 받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꿈같은 이야기네요. 하지만 언젠가는 그날이 오리라 생각하고 꿈꿔봅니다.








위 방법대로 본인의 정보를 그대로 입력하셔서 활용하시면 어려운 부분이 전혀 없답니다. 근데 이런식으로 계산해보니 여기저기 떼가는 금액이 참으로 많긴하네요. 뭐, 세금이나 4대보험은 당연히 내야하는거지만요. 더 열심히 일해서 수익을 더 늘리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모두 화이팅하시구요.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와 관련된 포스팅은 이것으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행복하세요.


이상 급여계산기 활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네이버 월급계산기의 서비스가 중단된 지금 사람인 급여계산기를 활용한다면 좋을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